[회계] 비용/수익/이익/손실의 정의, 종류, 구분 등 설명
업데이트:
1. [수익] 매출액
: 회사가 상거래 행위를 통해 판매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총액을 의미한다.
2. [비용] 매출원가
: 제품을 만들기 위해 사용된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.
제조업이라면 재료비, 노무비를 의미하고, 소매업이라면 상품의 구입가격을 의미한다.
3. [이익/손실] 매출총이익/손실
: 매출액에서 제조비용이나 원재료 구입비용을 차감한 금액
(매출액 - 매출원가 = 매출총이익/손실)
4. [비용] 판매비와 관리비
: 제품의 판매나 관리를 위해 사용된 비용을 의미한다.
예를들어) 급여, 퇴직급여, 임차료, 광고선전비, 감가상각비, 대손상각비, 접대비 등이 있다.
5. [이익/손실] 영업이익/손실
: 회사의 상거래 행위를 통해 얻어진 이익/손실
(매출액 - 매출원가 - 판매비와 관리비 = 영업이익)
6. [이익/손실] 영업외수익
: 기업 고유의 영업활동이 아닌부문에서 발생한 이익/손실, 이자수익, 배당금수익, 임대료, 유가증권처분이익/손실, 유가증권평가이익/손실, 외환차익, 외환환상이익/손실 등이 있다.
7. [비용] 영업외비용
: 기업 고유의 영업활동이 아닌 부문에서 발생한 비용, 이자비용, 유가증권처분손실, 유가증권처분손실, 유가증권평가손실, 외환차손, 외화환산손실, 기부금 등이 있다.
8. [이익/손실] 경상이익/손익
: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수익을 가산하고 영업외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한다. 여기서 영업외란 기업의 정관에 기재된 고유목적사업 이외의 사업을 말한다.
(영업이익 + 영업외수익 - 영업외비용 = 경상이익/손익)
9-1. [이익/손실] 특별이익
: 비경상적이고 비반복적인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이익, 토지건물매각 이익, 자산수증이익, 채무면제이익 등이 있다. ‘이익’이라고 쓰지만 수익에 포함된다.
9-2. [이익/손실] 특별손실
: 비경상적이고 비반복적인 사건으로 인해 발생한 손실, 토지건물매각손실, 자회사 청산시 손실, 천재지변에 의한 손실 등이 있다.
10. [이익/손실] 당기순이익/손실
: 회사가 1년동안 벌어들인 최종적인 이익/손실이 당기순이익/손실로 나타난다.
(경상이익 + 특별이익 - 특별손실 - 법인세비용 = 당기순이익/손실)
공유하기
Twitter Facebook LinkedIn◻ Sponsored b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