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회계] 기타 자주쓰이는 회계용어
업데이트:
1. 계상
: 장부에 기입 해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작업을 의미한다.
2. 평가
: 가액을 정해놓는 일을 의미한다. 예를들어) 유가증권의 평가, 충당금평가 토지평가 등이 있다.
3. 과목
: 보통 계정과목 을 의미한다. 재무제표의 각 항목들을 가르킨다.
4. 평가이익 · 평가손실
: 대차대조표상에는 나타나지 않는 숨겨진 이익이나 손실, 과거에 산 토지나 건물, 주식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. 예시를 들어보면) 과거에 500 만원 주고 산 토지가 지금팔면 5,000만원일 경우, ‘시가 5,000 만원 - 대차대조표상의 500만원 = 평가이익 4,500만원’ 으로 계산되어 집니다.
5. 급여
: 직급별로 받는 봉급·급료·보수·임금·수당이나 이와 유사한 성질의 비용 총액을 의미한다.
급여는 매출액을 계상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비용이다.
6. 배당금
: 회사의 이익 중 주주에게 지급해야 하는 돈을 의미한다. ‘이익을 못냈으니 배당금을 지급할 수 없다’ 라고 할 수 없다.
7. 주식
: 자본을 투자한 사람에게 회사가 주는 권리증서를 의미한다. 주식을 받은 사람이 주주 이며, 받는 증서는 주권 이다.
8. 증자
: 회사 설립 이후, 자본금을 늘리기 위해 추가로 주식을 발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.
9. 자기주식
: 자사주를 의미한다.
10. 재무제표
: 회사의 재무 상태를 알 수 있는 서류인 결산서를 의미한다. 대차대조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.
11. 결산
: 일정 기간을 정해 회사 상태나 영업성적을 계산하는 일을 의미한다. 한국은 보통 1월1일~12월31일까지 나눠서 결산하고 12월 결산법인이 대부분이다. 하지만 일본은 대부분 3월 결산법인이 많다.
12. 중간결산
: 상반기 종료 시점에 하는 결산을 의미한다.
13. 중간재무제표
: 결산기를 반기 또는 분기로 나눠서 작성하는 재무제표를 의미한다. 예를들어) 반기재무제표, 분기재무제표 이다.
14. 연결
: 자회사를 포함한 그룹 전체를 보는것을 연결 이라고 한다.
15. 모회사
: 자회사를 지배하는 회사를 의미한다. 과거에는 의결권 50% 이상을 가지고 있으면 모회사가 될 수 있었지만, 오늘날에는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면 모-자회사의 관계가 성립된다.
16. 계속기업(going concern) 전제
: 회사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활동한다는 대전제를 의미한다.
공유하기
Twitter Facebook LinkedIn◻ Sponsored by